Java/강의
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2-2. JVM 메모리 영역

가지코딩 2025. 4. 15. 16:25

📙 목차

  1. JVM 메모리 구조
  2. 코드 흐름 살펴보기
  3. Method(static) 이해하기
  4. Heap 영역 이해하기
  5. Stack 영역 이해하기

🧡 학습 목표

  • JVM 메모리 영역을 학습한다.

1. JVM 메모리 구조

Java 메모리 구조는 크게 3가지로 나뉜다.


2. 코드 흐름 살펴보기

코드 실행 기각화 도구

https://cscircles.cemc.uwaterloo.ca/java_visualize/

 

Java Visualizer

Write your Java code here: args: +command-line argument stdin (also visualizes consumption of StdIn) x <!-- Execute code using Python 2.7 Python 3.3 , --> <!-- these two make sense, but are not implemented yet hide frames of exited functions show frames of

cscircles.cemc.uwaterloo.ca

 

public class Main {
    static class Person {
        String name;
        int age;
        String address;

        Person(String name, int age) {
            this.name = name;
            this.age = age;
        }

        void introduce() {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나의 이름은");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this.name + "입니다.");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"나의 나이는");
            System.out.println(this.age + "입니다.");
        }

        int sum(int value1, int value2) {
            introduce();
            int result = value1 + value2;
            return result;
        }
    }
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String name = "Steve";
        int age = 20;
        Person personA = new Person(name, age);
        personA.introduce();

        int value1 = 1;
        int value2 = 2;

        int ret = personA.sum(value1, value2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ret);
    }
}

 

 

Frames = Stack 영역

Objects = Heap 영역


3. Method(static) 이해하기

Method Area

  • 프로그램이 실행되면 작성했던 모든 파일(.java)의 데이터가 Method(static)영역에 저장된다.
  • 프로그램 실행 시점에 한번만 저장된다.
  • Method 영역에 저장된 데이터는 프로그램 전체에서 공용으로 활용 가능하다.
  • static 으로 선언된 변수와 메서드들이 이 공간에 위치하게 된다.


4. Heap 영역 이해하기

Heap Area

  • new 키워드로 생성된 객체는 Heap 영역에 저장된다.
  • Stack 영역의 변수가 Heap 영역의 객체를 참조하고 있다.

 

➕ 가비지 컬렉터(Garbage Collector)
Java의 사용하지 않는 객체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기능

- new 키워드로 생성한 객체는 Heap 영역에 저장된다.
- 사용이 끝난 객체는 메모리에 남아 있으면 낭비...
- 가비지 컬랙터가 이러 불필요한 객체를 자동으로 정리해서 메모리를 확보한다.

5. Stack 영역 이해하기

  • 메서드가 호출될 때마다 Stack 영역에 메모리가 할당된다.
  • 하나의 접시(스택프레임)에 각 메서드의 지역변수가 저장된다.
  • 이 영역은 접시를 쌓듯이 LIFO-후입선출 구조이다.
  • 메서드가 시작되면 추가되고 메서드가 종료되면 사라지는 구조이다.
  • 특정 메서드가 실행되면 해당 메서드의 정보와 변수가 Stack 에 저장되고, 메서드 실행이 끝나면 그 메모리는 자동으로 제거된다.
  • 메서드 내에 선언된 지역변수들이 저장되는 공간이다.

 

💡 LIFO(Last In First Out) - 후입선출
마지막에 들어온 요소가 제일 먼저 나가게 되는 구조를 뜻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