📙 목차
🧡 학습 목표
- 메서드가 무엇인지 학습합니다.
- 메서드의 호출부와 선언부의 차이를 학습합니다.
- void 가 무엇인지 학습합니다.
- return 이 무엇인지 학습합니다.
1. 메서드(method): 작업단위를 표현하는 방법
메서드(method)
- 함수, 기능이라고도 한다.
- 여러 개의 작은 명령문을 한곳에 모아 사용하는 단위를 메서드라고 한다.
- 기능을 메서드로 분리하면 코드가 더 명확해지고 유지 보수가 쉬워진다.
커피마시기()
{
1. 컵을 준비한다;
2. 컵에 커피를 따른다;
3. 컵에 담긴 커피를 마신다;
}
메서드 구조
- 메서드는 항상 클래스 내부에 존재한다.
- 메서드는 호출부, 선언부로 나누어진다.
- 호출부 - 메서드를 사용하는 곳
- 선언부 -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는 곳
- 호출부 매개변수를 활용해 메서드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.
public class 클래스이름 {
[반환자료형] [메서드이름](매개변수..) {
작업 명령문들...
}
}
* 지역변수의 개념
- 각 메서드는 자신만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.
- 영역은 중괄호 {} 로 표현
- 중괄호 안에 선언된 변수는 중괄호 안에서만 생존
2. 선언부(메서드가 정의되어 있는 곳)
- 메서드 이름
- 기능의 역할을 쉽게 짐작할 수 있도록 의미있는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.
- 카멜케이스(camelCase)를 사용하여 작성하며 주로 동사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.
- 예시: sum(), printMessage(), findUserById()
- 매개변수
- 작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는 공간(변수)이다.
- 매개변수는 여러 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쉼표(,)로 구분한다.
- 작업내용
- 메서드가 실행할 명령문을 {} 중괄호 안에 작성한다.
- 메서드가 호출되면 여기에 작성된 코드가 첫 번째 줄부터 실행된다.
- 중괄호가 끝나면 함수가 종료된다.
- 반환값
- 작업한 결과를 반환해야 할 경우 return 키워드를 사용한다.
- 반환값은 함수가 호출된 곳으로 전달되고 이를 활용할 수있다.
- 반환 자료형
- 반환되는 데이터의 자료형을 메서드 선언부에서 명시해야 한다.
- 반환값이 있는 경우 → 반환되는 데이터의 자료형(int, String, double 등)을 작성
- 반환값이 없는 경우 → void를 작성
public class Calculator {
int sum(int value1, value2) {
int result = value1 + value2;
return result;
}
}
3. 호출부(메서드를 호출하는 쪽)
메서드를 활용하고 있는 곳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 {
Calculator calculator = new Calculator(); // ✅ Calculator 객체 소환
int result = calculator.sum(1, 2); // ✅ 호출부
System.out.println("결과: " + result);
}
}
'Java > 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2-2. JVM 메모리 영역 (0) | 2025.04.15 |
---|---|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2-1. 클래스와 객체 (1) | 2025.04.15 |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1-9. 배열 - 데이터 관리의 시작 (0) | 2025.04.15 |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1-8. 반복문 - 자동화의 첫걸음 (0) | 2025.04.15 |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1-7. 조건문 - 프로그램의 선택지 (0) | 2025.04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