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일시 : 4/14(월) 14:00
- 진행 : 김기용 튜터님
- 장소 : zoom
📝 TIL 작성 가이드
1. TIL(today I learn) 이란?
TIL 은 "Today I learned" - "오늘 내가 배운것"의 줄임말로,
최근에 알게 된 흥미로운 사실을 공유하는 인터넷 문화에서 비롯되었다.
2. 개발 커뮤니티에서의 TIL
서로의 TIL을 통해
- 새로운 개념을 배운다.
- 본인의 코드에서 놓쳤던 부분을 발견한다.
-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.
개발 블로그 종류 (velog, tistory 등)
개발 커뮤니티 종류 (stackoverflow, OKKY 등)
3. TIL 5가지 유형 정리
1) 정보 기록형
- 목적: 오늘 배운 기술/지식 정리
- 형식: 개념 요약 + 핵심 코드 예시
- 예시: <form> 에서 submit 이벤트 발생 시 페이지 새로고침을 막는 방법 → preventDefault();
- 활용
- 빠르게 다시 찾아볼 수 있도록 정리
- 팀원이나 동료와의 지식 공유
- 시간이 지나도 잊지 않도록 초심자 입장에서 남기기
2) 구현 과정 설명형
- 목적: 프로젝트에서 구현한 기능의 설명(기술, 구조, 로직의 흐름)
- 형식
- 구현 배경 - 왜 만들게 되었는지?
- 기능 소개
- 사용한 기술
- 기능 구조 및 흐름 설명
- 느낀점
- 예시: 방명록 기능을 어떠한 구조로 설계했는지?
- 활용
- 간결하고 명확하게 핵심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 기르기
-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설계 능력을 보여줄 수 있음 → 개발 업무 능력 어필
3) 문제 해결형
- 목적: 개발중 겪은 문제 상황과 해결 과정을 기록하고 공유
- 형식: 문제상황 식별 → 원인분석 → 해결 → 회고
- 예시: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주문할때 재고가 마이너스로 떨어지는 문제
- 활용
- 논리적인 문제 해결 역량 기르기
- 논리적인 문제 해결 역량을 보여주는 사례로 활용 → 논리적인 문제해결 역량 어필
4) 기술 비교 분석형
- 목적: 선택한 기술의 이유와 다른 대안과의 비교
- 형식
- 비교 주제
- 각 기술 간 차이점(장단점)
- 최종 선택 이유 및 고려한 요소
- 예시: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주문할때 재고가 마이너스로 떨어지는 문제
- 활용
- 기술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어떤 기준을 가지고 판단했는지 설명
- 기술선택에 대한 설득과 논리력을 어필할 수 있음
5) 회고형
- 목적: 시행착오, 배운점, 느낀점 등을 되돌아보며 성장 과정을 기록
- 형식
- 자유로운 형식(일기 등)
- 구조적 형식 KPT(Keep, Problem, Try) 등
- 예시: 신입 개발자로서의 1년을 마무리하며, xx 프로젝트를 마무리하며
- 활용
- 기술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협업, 커뮤니케이션, 태도 등 개발자로서의 역량 전반을 성찰하는 목적
- 단순한 경험 기록을 넘어 내가 어떤 사람인지 보여줄 수 있는 자기 소개서 역할 →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임을 어필
4. TIL 잘쓰는 법 2가지
1) 가벼운 말투 피하기
- ❌ “내배캠”, “Day1”, “힘들었당~”, “~~임”, “완전 신기했음!” 같은 표현은 글을 가볍게 보이게 하고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.
- ✅ 전문성을 유지하면서도 깔끔한 어조로 작성해야 한다.
2) 주제는 하나씩 분리해서 작성하기
- 기능구현설명, 문제해결, 기술비교는 각각 별도 TIL 주제로 작성한다.
- 한 글에 많은 것을 담으려 하면 설명이 길어지고 말하는 사람도 듣는 사람도 흐름을 놓치게 된다.
- 주제의 범위를 알맞게 가져가면 논리적인 전달이 가능하다.
5. TIL 을 100% 활용하는 방법
- "이 기능은 어떻게 구현하셨나요? → 구현 과정 설명 TIL 로 연결
- “구현하면서 어떤 문제가 있었나요?” → 문제 해결 TIL 로 연결
- “왜 Firebase 를 선택했나요?” → 기술 선택 TIL 로 연결
6. TIL 작성을 시작해보세요
TIL 을 꾸준히 잘 정리된 구조로 작성하면
- 면접에서 구현 기능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준비물이 되고
- 동시에 논리력, 문제해결 역량, 성실성 을 보여주는 포트폴리오의 일부가 된다.
'내일배움캠프(Spring 7기) > 특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객체 활용 첫걸음(실습) 세션 (1) | 2025.04.22 |
---|---|
Java 프로그래밍 기초 세션 (0) | 2025.04.16 |
Git & Github으로 협업하는 법 (0) | 2025.04.15 |
GIT 기초 특강 (0) | 2025.04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