커밋 컨벤션(Commit Convention) 이란?
Git에서 커밋 메시지를 작성할 때 일정한 형식(규칙)을 정해 놓은 것
커밋 컨벤션의 장점
- 커밋 메시지를 봤을 때 어떤 변경을 했는지 빠르게 파악 가능
- 협업 시 코드 히스토리가 명확하고 일관됨
- 자동 릴리즈(예: semantic-release)나 체인지로그 생성 등에 유리
Conventional Commits - 가장 널리 쓰이는 형식
<참고자료>
https://www.conventionalcommits.org/en/v1.0.0/
Conventional Commits
A specification for adding human and machine readable meaning to commit messages
www.conventionalcommits.org
기본 구조
<type>(optional scope): <subject>
예시
feat: 로그인 기능 추가
fix: 비밀번호 검증 오류 수정
docs: README 업데이트
style: 코드 포맷팅 적용 (세미콜론 추가 등)
refactor: 중복 코드 제거
test: 로그인 테스트 코드 추가
chore: 빌드 설정 변경
feat(login): 로그인 버튼에 로딩 스피너 추가
fix(api): 응답 코드 오류 수정
타입 | 설명 |
feat | 새로운 기능 추가 |
fix | 버그 수정 |
docs | 문서 수정 (코드 변경 없음) |
style | 코드 포맷팅, 세미콜론 등 스타일 변경 (논리 변경 없음) |
refactor | 리팩토링 (기능 변화 없음) |
test | 테스트 관련 코드 추가/수정 |
chore | 빌드, 패키지 매니저 설정 등 기타 작업 |
+ 추가
타입 | 설명 |
!BREAKING CHANCE | 커다란 API 변경의 경우 |
!HOTFIX | 급하게 치명적인 버그를 고쳐야하는 경우 |
design | css 등 사용자 UI 디자인 변경 |
comment | 필요한 주석 추가 및 변경 |
refactor | 리팩토링 (기능 변화 없음) |
rename | 파일 혹은 폴더명을 수정하거나 옮기는 작업만인 경우 |
remove | 파일을 삭제하는 작업만 수행한 경우 |
'Git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.github 디렉토리 (2) | 2025.06.04 |
---|---|
default branch를 main으로 변경하기 (0) | 2025.04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