📙 목차
🧡 학습 목표
- 변수(Variable)에 대해서 학습한다.
- 자료형(Data type)이 무엇인지 학습한다.
- 형변환(Casting)이 무엇인지 학습한다
1. 변수(Variable)
변수란?
데이터를 컴퓨터에 저장하기 위한 공간
- 데이터를 활용하고 보관하기 위해서 변수에 담아 관리한다.
- 데이터들은 메모리에서 관리된다.
문법: 변수의 구조
[자료형] [변수이름][세미콜론]
int a;
💡 세미콜론(;)
문장을 끝내는 마침표이다.
세미콜론이 없으면 문장이 끝난 건지 아닌지 컴퓨터가 헷갈려서 오류를 발생시킨다.
변수 이름 규칙
- 카멜케이스(camelCase) 권장
- 명사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.
- 특수 문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.
2. 변수 활용
문법: 변수 선언
데이터 저장 공간을 만드는 것을 “변수를 선언한다”라고 한다.
int a;
int b;
문법: 변수에 값 할당
변수에 값을 넣어주는 것을 “값을 할당한다” 라고 한다.
// a 는 변수이름(Variable)
// 1 은 리터럴(literal)
a = 1;
💡 리터럴(Literal)
리터럴은 변수 안에 직접 “넣는 값” 을 의미한다.
문법: 선언과 동시에 값 할당
int c = 3;
💡 초기화(initialization)
처음으로 데이터를 초기값을 설정 하는것을 "초기화" 라고 한다.
문법: 기존 변수에 데이터 재할당(reassign)
- 변수는 재사용 될 수 있다.
- 기존 변수에 값을 재할당하게 되면 값이 덮어씌워진다.
c = 4;
c = 5;
c = 6;
3. 자료형(Data type)
자료형
- 메모리를 사용하는 단위
-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는 규칙
- Java에서는 사용 빈도가 높은 자료형을 미리 정해 놓았다. (int, String, long, boolean)
자료형 | 종류 | 범위 | 바이트 | 비트 |
boolean | 논리형 | true/false | 1 | 8 |
char | 문자형 | 0 ~ 65535 유니코드 값 | 2 | 16 |
byte | 정수형 | -128 ~ 127 | 1 | 8 |
short | 정수형 | -32,768 ~ 32,767 | 2 | 16 |
int | 정수형 | 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 | 4 | 32 |
long | 정수형 | -9,233,372,036,854,775,808 ~ 9,233,372,036,854,775,807 |
8 | 64 |
float | 실수형 | 약 소수점 6~7자리까지 | 4 | 32 |
double | 실수형 | 약 소수점 15~17자리까지 | 8 | 64 |
4. 변수의 선언과 메모리 할당
- '변수이름'으로는 데이터의 위치를 표현하고, '자료형'으로는 데이터의 크기를 표현한다.
int a = 10; // 4 바이트 크기의 a 변수에 정수형 데이터 10을 넣어 초기화.
int b; // 4바이트 크기의 b 변수에 어떤 값이 저장되 있는지 알 수 없음.
[실습]
논리형
boolean booleanBox = true;
booleanBox = false;
System.out.println("booleanBox = " + booleanBox);
문자형
char charBox = 'a';
charBox = 'b';
System.out.println("charBox = " + charBox);
정수형(byte)
byte byteBox = 1;
byteBox = 2;
System.out.println("byteBox = " + byteBox);
정수형(short)
short shortBox = 1;
shortBox = 2;
System.out.println("shortBox = " + shortBox);
정수형(int)
int intBox = 1;
intBox = 2;
System.out.println("intBox = " + intBox);
정수형(long)
long longBox = 1;
longBox = 2;
System.out.println("longBox = " + longBox);
실수형(float)
// 실수형(float) * 꼭 뒤에 f 를 붙여줘야합니다.
float floatBox = 0.12345678f;
floatBox = 0.1234567890f;
System.out.println("floatBox = " + floatBox);
* 소수점 뒤에 f를 붙이지 않으면 double 형으로 인식한다.
실수형(double)
double doubleBox = 0.12345678901234567;
doubleBox = 0.123456789012345678;
System.out.println("doubleBox = " + doubleBox);
5. 형변환(Casting)
형변환
- 변수의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.
- 업캐스팅(UpCasting) 과 다운캐스팅(DownCasting) 방식이 있다.
형 변환 종류 | 형 변환 방식 | 자동 형 변환 여부 | 설명 | 데이터 손실 |
다운캐스팅(DownCasting) | 명시적(Explicit) | ❌ | 큰상자 → 작은상자 | 발생 |
업캐스팅(UpCasting) | 묵시적(Implicit) | ✅ | 작은상자 → 큰상자 | 없음 |
5. 실무에서 자주 활용되는 변수 종류 ⭐
문자열 표현
String stringBox = "문자열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";
*문자 vs 문자열
char a = 'a';
String str = "abc";
정수 표현
int intBox = 1;
long longBox = 1;
논리 표현
boolean booleanBox = false;
'Java > 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1-6. 연산자 - 계산의 시작 (0) | 2025.04.15 |
---|---|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1-5. 입출력 - 프로그램과 사용자 간의 대화 (0) | 2025.04.14 |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1-3. 자바 프로젝트 관리 (0) | 2025.04.14 |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1-2. 컴퓨터의 기억 방식 (0) | 2025.04.14 |
[📙 Java 문법 종합반] 1-1. Hello Java! (1) | 2025.04.14 |